[SH행복현장]
난징 위안부 시설 본 학생들 “울분이 차올랐다”
서울주택도시공사, 모범학생 32명 선발해 중국 내 독립운동 현장탐방
“오늘 찾은 곳은 ‘위안부기념관’이라고 적혀있는 곳이었는데 절대로 ‘기념’이란 단어가 쓰여서는 안 될 곳에 들어서자마자 울분이 차올랐다.” (조수민 학생)
서울주택도시공사(사장 김세용)는 지난 9월 4일부터 7일까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 발자취를 청소년들이 직접 체험하는 ‘Jump Up! 글로벌 캠프 2018 SH 모범학생 해외탐방’ 행사를 개최했다. 모범학생 해외탐방은 서울시 거주 청소년에게 외국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해 보다 원대한 꿈을 키우고, 국제화 시대가 요구하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사의 대표적인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이다.
이번 행사에 선발된 32명의 탐방대원들은 중국 상해를 방문한 첫날 임시정부 청사 및 훙커우 공원(현 루쉰 공원) 내 윤봉길 의사 기념관(매헌기념관)을 찾아 독립운동의 역사를 뒤돌아봤다. 또한 장쑤성 난징시의 ‘리지샹 위안소 유적 진열관’을 방문해 일제 강점기의 처참했던 현장을 돌아봤다. 이곳을 방문한 학생들은 “이렇게 끔찍한 장소를 ‘위안소(comfort stations)’라고 부르고 쓴 일본군에 너무 화가 난다”고 말했다. 더불어 몇몇은 기념품을 사려고 가져온 돈을 기부함에 넣기도 했다.
한편, 이번 해외탐방을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는 지난 7월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공개 모집을 추진했다. 수많은 고등학생이 신청서를 냈으며, 치열한 경쟁을 뚫고 32명의 탐방대원이 최종 선정돼 중국으로 향했다. 해외탐방은 우리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됐으며, 만일의 안전사고에 대비해 서울의료원 전문의도 함께했다.
노중수 학생 기억한다는 것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무언가를 머릿속에 담고 있는 것, 단지 그뿐일까? (중략) 역사를 기억함으로 인해 우리는 두 가지 행동을 할 수 있다. 첫 번째, 좋은 역사를 기억하고 참고하여 나 자신과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의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 | ||
김유빈 학생 여러 코스 중 그저 한 곳으로 기억했던 이곳, 그냥 아무 의미 없이 ‘정숙 조금하고 나오면 되겠지’라는 생각을 갖고 방문했다. 방문하자마자 눈에 띄는 것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사진이었다. 그 사진을 보는 순간 머리가 ‘띵’하고 울렸다. 왜 할머니들을 부를 때 ‘Comfort woman’이라고 번역을 해 놓았는지 이 부분에서 충격을 받았다. 그저 전쟁에 지친 군인들을 상대하는 편한 여자들, 어떻게 대해도 상관없다는 뜻이 아닐까. | ||
06336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621
(대표전화 : 1600-3456)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06336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621(대표전화 : 1600-3456)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