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만난 서울]
뒷골목의 변신, 익선동 한옥마을
좁은 골목길을 따라 한옥이 오밀조밀하게 늘어서 있는 곳, 서울 익선동이 젊은이들의 거리로 다시 태어났다. 겉으로는 옛 한옥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예상치 못한 풍경이 펼쳐진다. 아늑한 카페는 물론이고 레스토랑, 수제 맥줏집 등 전통 한옥과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공간들이 그것이다. 개화기 한옥 마을로 시작해 오늘날 소위 ‘힙 한’ 공간으로 거듭난 익선동을 만나보자.
100년 역사 품은 한옥마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익선동. 이곳의 시작은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본래 익선동은 철종이 태어나고 이후 그 후손들이 살았던 누동궁이 자리한 지역이었다. 그러던 중 1920년 청계천 이남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종로 진출에 속도를 내자, 당시 부동산 개발업자 정세권 선생이 일대 토지를 사들여 대규모 한옥단지를 조성했다. 그는 조선인을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의 한옥을 분양해 종로를 지킨 것이다.
근대 생활방식에 맞춰 만들어진 익선동 한옥단지는 거주지로서 제격이었다. 전통한옥이라기 보단 일종의 ‘퓨전한옥’에 가까웠다. 전통한옥이 한가운데 마당이 있는 형태라면, 익선동 한옥은 마루를 가운데에 두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이는 작은 부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세권 선생의 철학이라고 전해진다. 좁은 골목길이 구획을 가른 사이로 100여 채 집들이 모여 있다 보니 이웃 간의 왕래도 활발했다.
그러나 익선동 역시 세월의 흐름 앞에선 변화를 맞을 수밖에 없었다. 낡은 한옥에서 현대 생활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고 주민들은 재개발을 택했다. 주민들의 바람은 한옥마을이 복합상업시설로 변모하는 것.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면서 익선동은 2004년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문제는 한옥을 보전하는 방향 아래 재개발을 주장하는 의견과 반대 의견이 충돌했고, 2014년 재개발계획이 무산됐다.
방치된 한옥에 불어온 변화
재개발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사이 낡은 한옥은 방치됐다. 낡은 기왓장들은 그대로 남았고 익선동은 버려진 동네나 다름없었다. 그렇게 익선동 일대 관리 방안이 표류했는데,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과정이 전화위복이 되었다. 한옥을 개조한 식당과 카페를 여는 청년들이 등장하면서부터다.
그 필두는 패션 사진작가 루이스 박이 2014년 문을 연 카페 ‘식물’이다. 그는 한옥 세 채를 이어 카페 겸 바로 재탄생시켰다. 뒤이어 ‘익선동121’, ‘거북이슈퍼’ 등 한옥을 토대로 한 상점들이 문을 열었다. 당시만 해도 흔하지 않은 공간 특성상 이들 가게들은 입소문을 탔고, 익선동을 찾는 발걸음도 크게 늘었다.
이러한 흐름은 뉴트로(신복고주의) 열풍과도 맞물렸다. 옛것과 새것, 보존과 개발이 혼재된 흔적이 과거를 경험하지 못한 세대를 유인했다.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신축 대신 최소한의 보수만 진행했는데, 그렇게 간직된 옛 모습이 오히려 상권 발달의 장점이 된 셈이다.
한옥 안 카페, 가맥집, 레스토랑
지하철 종로 3가역 4번 출구로 나오면 익선동으로 곧장 향할 수 있다. 골목 초입부터 한옥을 리모델링한 작은 가게들이 눈에 띈다. 갤러리겸 카페인 ‘틈’(구 ‘익선 다방’)이 가장 먼저 반긴다. 규모가 그리크진 않아도 멋들어진 정원이 있는 ‘ㄱ’자 구조의 한옥이다. 음료 맛보기와 더불어, 벽마다 전시된 그림을 보는 재미가 있는 공간이다.
말 그대로 동네 슈퍼를 표방한 ‘거북이 슈퍼’도 익선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명소다. 과자와 맥주를 편히 꺼내 먹을 수 있는 곳, 옛 가맥집 콘셉트의 가게다. 슈퍼 왼편으로는 먹태, 쥐포 등 주전부리를 직접 구울 수 있는 연탄이 있다. ‘느리면서도 꾸준히 가고 싶다’는 이유에서 가게 이름을 ‘거북이 슈퍼’라고 붙였다고 알려졌듯, 익선동만의 낭만이 깃든 곳이다.
‘열두달’이라는 이름의 식당 토대 역시 한옥이다. 1920년대 지어진 ‘ㅁ’자 구조의 한옥으로, 중앙에 마당이 있는 형태다. 눈 여겨 볼 점은 이 식당의 메뉴다. 수제 맥주와 파스타 등 한옥과는 쉽게 연상되지 않는 음식들이다. 그래서 흥미롭고, 그래서 더욱 반가운 익선동이다.
[새롭게 만난 서울]
뒷골목의 변신, 익선동 한옥마을
좁은 골목길을 따라 한옥이 오밀조밀하게 늘어서 있는 곳, 서울 익선동이 젊은이들의 거리로 다시 태어났다. 겉으로는 옛 한옥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예상치 못한 풍경이 펼쳐진다. 아늑한 카페는 물론이고 레스토랑, 수제 맥줏집 등 전통 한옥과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공간들이 그것이다. 개화기 한옥 마을로 시작해 오늘날 소위 ‘힙 한’ 공간으로 거듭난 익선동을 만나보자.
100년 역사 품은 한옥마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익선동. 이곳의 시작은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본래 익선동은 철종이 태어나고 이후 그 후손들이 살았던 누동궁이 자리한 지역이었다. 그러던 중 1920년 청계천 이남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종로 진출에 속도를 내자, 당시 부동산 개발업자 정세권 선생이 일대 토지를 사들여 대규모 한옥단지를 조성했다. 그는 조선인을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의 한옥을 분양해 종로를 지킨 것이다.
근대 생활방식에 맞춰 만들어진 익선동 한옥단지는 거주지로서 제격이었다. 전통한옥이라기 보단 일종의 ‘퓨전한옥’에 가까웠다. 전통한옥이 한가운데 마당이 있는 형태라면, 익선동 한옥은 마루를 가운데에 두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이는 작은 부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세권 선생의 철학이라고 전해진다. 좁은 골목길이 구획을 가른 사이로 100여 채 집들이 모여 있다 보니 이웃 간의 왕래도 활발했다.
그러나 익선동 역시 세월의 흐름 앞에선 변화를 맞을 수밖에 없었다. 낡은 한옥에서 현대 생활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고 주민들은 재개발을 택했다. 주민들의 바람은 한옥마을이 복합상업시설로 변모하는 것.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면서 익선동은 2004년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문제는 한옥을 보전하는 방향 아래 재개발을 주장하는 의견과 반대 의견이 충돌했고, 2014년 재개발계획이 무산됐다.
방치된 한옥에 불어온 변화
재개발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사이 낡은 한옥은 방치됐다. 낡은 기왓장들은 그대로 남았고 익선동은 버려진 동네나 다름없었다. 그렇게 익선동 일대 관리 방안이 표류했는데,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과정이 전화위복이 되었다. 한옥을 개조한 식당과 카페를 여는 청년들이 등장하면서부터다.
그 필두는 패션 사진작가 루이스 박이 2014년 문을 연 카페 ‘식물’이다. 그는 한옥 세 채를 이어 카페 겸 바로 재탄생시켰다. 뒤이어 ‘익선동121’, ‘거북이슈퍼’ 등 한옥을 토대로 한 상점들이 문을 열었다. 당시만 해도 흔하지 않은 공간 특성상 이들 가게들은 입소문을 탔고, 익선동을 찾는 발걸음도 크게 늘었다.
이러한 흐름은 뉴트로(신복고주의) 열풍과도 맞물렸다. 옛것과 새것, 보존과 개발이 혼재된 흔적이 과거를 경험하지 못한 세대를 유인했다.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신축 대신 최소한의 보수만 진행했는데, 그렇게 간직된 옛 모습이 오히려 상권 발달의 장점이 된 셈이다.
한옥 안 카페, 가맥집, 레스토랑
지하철 종로 3가역 4번 출구로 나오면 익선동으로 곧장 향할 수 있다. 골목 초입부터 한옥을 리모델링한 작은 가게들이 눈에 띈다. 갤러리겸 카페인 ‘틈’(구 ‘익선 다방’)이 가장 먼저 반긴다. 규모가 그리크진 않아도 멋들어진 정원이 있는 ‘ㄱ’자 구조의 한옥이다. 음료 맛보기와 더불어, 벽마다 전시된 그림을 보는 재미가 있는 공간이다.
말 그대로 동네 슈퍼를 표방한 ‘거북이 슈퍼’도 익선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명소다. 과자와 맥주를 편히 꺼내 먹을 수 있는 곳, 옛 가맥집 콘셉트의 가게다. 슈퍼 왼편으로는 먹태, 쥐포 등 주전부리를 직접 구울 수 있는 연탄이 있다. ‘느리면서도 꾸준히 가고 싶다’는 이유에서 가게 이름을 ‘거북이 슈퍼’라고 붙였다고 알려졌듯, 익선동만의 낭만이 깃든 곳이다.
‘열두달’이라는 이름의 식당 토대 역시 한옥이다. 1920년대 지어진 ‘ㅁ’자 구조의 한옥으로, 중앙에 마당이 있는 형태다. 눈 여겨 볼 점은 이 식당의 메뉴다. 수제 맥주와 파스타 등 한옥과는 쉽게 연상되지 않는 음식들이다. 그래서 흥미롭고, 그래서 더욱 반가운 익선동이다.